순교자 성월 기획 - 순교자, 그들이 남긴 것 (중)

by 두레&요안나 posted Sep 08,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9월 순교자 성월을 보내는 우리는 행복하다.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마음이 한껏 차분해지는 가을의 소리가 들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가운데 우리를 가장 행복하게 하는 것은 순교자를 따라 살겠다는 자신의 다짐일 것이다. 그 다짐의 표피(表皮)를 더욱 굳게 하기 위해 순교자들이 마지막 남긴 말을 읽고, 쓰고, 만져 보자.



■ 조정 대신(大臣)·명도회 회원에게 남긴 말

조정 대신에게

1839년, 정하상 성인은 순교하기 전 붓을 들어 자신을 박해하는 조정 대신에게 글을 올린다. 이것이 ‘상재상서(上宰相書)’다. 천주교 교리를 밝히고, 천주교에 대한 박해의 비합리성과 부당성을 지적하고, 천주교를 변호하는 글이다.

상재상서는 길지 않으면서도 논리적이다. 순교를 눈앞에 둔 마지막에도 정하상 성인은 박해의 칼을 거머쥔 조정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것이다.

- 정하상 성인.
“만약 올바른 것이라면 그것이 비록 나무꾼의 말일지라도 성인(聖人)들은 반드시 받아들였으니, 이것은 사람의 겉모습만 보고 그가 한 말을 함부로 버리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종교를 금지하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입니까?”

그의 첫 번째 물음이다. 그는 우리나라 조정이 천주교의 이치가 어떤지는 알아보지 않고 무조건 옳지 못한 가르침이라고 몰아붙이는데 원통함마저 안고 있다. 실제로 그는 신유박해(1801년)를 전후로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갔으면서도 천주교의 기원과 전통을 조사해 본 적이 없는 관리들에게 부당함을 호소한다. 이어 ‘감히’ 천주교의 가르침이 잘못된 것이 아님을 말씀드리겠다고 나선다.

“천지 위에는 어른(하느님)이 계신데, 그분은 스스로 존재하시고 주재하시는 분으로서 이는 다음 세 가지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만물(천지만물)이고 둘째는 양지(양심)이며 셋째는 성경입니다.(중략) 생각해보면 천지는 하나의 커다란 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날아다니는 것, 걸어다니는 것, 동물, 식물 등 제각기 다양한 형상들이 어떻게 저절로 생겨났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정하상은 ‘천지가 저절로 생겨났다면 해와 달과 별이 어떻게 그 자리를 벗어나지 않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어떻게 그 바뀌는 순서가 잘못되지 않느냐’고 묻는다. 두번 째로 그는 하느님이 계심을 ‘사람들의 양심’을 증거로 이야기한다.

“세상의 무식한 남자와 여자들도 당황스러운 막다른 지경이나 몹시 슬프고 절망스러운 때를 만나면 틀림없이 하느님을 찾으며 부르짖듯 기도합니다. 이것은 사람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마음과 타고난 천성으로서 숨길래야 숨길 수 없기 때문에 가르치지 않아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떻게 섬길 지 몰라서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하느님에 대한 그의 마지막 증거는 ‘성경’이었다. 그는 조정 대신이 이해하기 쉽도록 성경을 경서와 사서 등에 비유하며, 이러한 서적을 ‘소가 땀을 흘릴 만큼’ 실어다 온 집안에 가득 채운다고 해도 우리나라 사람들을 조금도 잘못되게 하지 않는다고 꼬집는다.

정하상의 말은 단호하다. 큰 은혜를 내려주신 아버지와 같은 하느님께 어떻게 불효를 저지르겠느냐는 요지다. 십계명과 영혼이 가는 곳, 천당과 지옥, 성교회 등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그의 말은 엄중하면서도 절박하기까지 하다. 상재상서의 마지막은 이러하다.

“신주(神主)라는 것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혈육과는 아무 관계가 없고 또 낳아서 길러준 부모님의 노고와도 관련이 없습니다.(중략) 그런데 목수가 만들어서 분을 칠하고 먹을 찍은 신주를 보고 참된 아버지요 어머니라 부를 수 있겠습니까? 그것을 뒷받침할 근거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양심 또한 허락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차라리 양반에게 죄를 짓더라도 성교회에 죄를 짓고 싶지는 않습니다.”

- 정하상이 1839년 작성한 상재상서(上宰相書).
명도회 회원들에게

이순이 순교자의 막내 동생 이경언 바오로는 가족에게는 물론 자신이 몸담았던 명도회 회원들에게도 서한을 남긴다. 그만큼 명도회는 천주교 전교활동을 위한 중요한 단체였으며, 이경언 자신에게도 큰 의미가 되는 단체였기 때문이다.

“모든 회원들의 열성과 공로가 얼마나 큰 것입니까! 나 자신과 내 부당한 것을 부끄러워하는 나로서는 내 죄가 천지간에 용납될 수 없을 만큼 큰 것을 생각하고 입회할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내가 어떻게 저분들과 한데 섞일 수가 있겠는가’ 하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의 편지로 미루어 볼 때 당시 명도회 회원들은 마음가짐과 몸가짐이 바르고, 하느님에 대한 믿음과 이웃에 대한 애덕의 실천이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오히려 자신의 체포로 놀랐을 회원들에게 위로의 말을 건넨다.

“내가 천만 뜻밖에 잡혔으므로 여러분들은 놀라시고 또 몹시 걱정하셨을 것입니다. 나로 말하면 여러분 한 사람 한사람과 어떤 생각으로 항상 연결돼 있는지를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그러나 한마디만 하게 해주십시오.(중략) 간절히 기도하고 또 기도하십시오.”

그는 자신의 벗인 현석문 가롤로에게도 따뜻한 말을 전하며 자신의 결점을 말해주어 고맙고, 아내와 아이들을 보살펴주기를 부탁한다. 죽음을 맞이하면서도 옥중에서 자신의 명도회 회원들에게 안부를 전하는 이경언 순교자는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의 신앙 생활을 깊이 반성하게 한다.

“내가 먼저 천국에 올라갈 수 있게 되면 어느 분이든지 이 큰 집에 오실 적에 풍악을 갖춰 가지고 마중 나가 우리 공번된 아버지께로 같이 올라가 그분을 찬미하고 즐길 것입니다. 지나가는 이 세상에서 육신과 영혼을 고이 간직하도록 조심하십시오. 그러면 영세에서 우리들의 마음을 온전히 알게 될 것입니다.”

- 천진암 성지에 있는 정하상 성인의 묘.
- ‘명도회’는 교리를 익히고 전교활동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인터뷰 / 정종득 수원교회사연구소장 신부

"순교자 서한에 담긴 ‘만고의 진리’ 배워야"

▲ 정종득 수원교회사연구소장 신부.
“순교자들의 서한을 보면 현재 예비자 교리 때 강의를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좋은 자료들이 많습니다. 신앙생활의 지침서로서 시대를 초월해 적용할 수 있는 만고의 진리지요.”

수원교구 구산성지 전담 정종득 신부(수원교회사연구소장)는 ‘순교자들의 서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시대를 초월해 적용할 수 있는 만고의 진리. 김대건 성인의 ‘마지막 회유문’을 비롯 순교자들이 우리에게 남긴 서한 위에는 신앙의 가르침이 아직도 면면히 흐르고 있는 것이다.

“초기 한국교회 신앙인들은 은총 가운데 살아가길 원했습니다. 예수님을 따라 수난을 이겨내며 심중에 거룩한 맛과 영혼의 즐거운 맛을 느끼던 분들입니다. 그들의 서한을 보면 ‘막비주명’이라는 말이 많이 있는데, 이는 하느님의 명령이 아닌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는 순교의 목적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순교자들의 순교와 순교신심의 목적이 ‘자신의 구원’이 아닌 ‘하느님께 돌리는 영광(위주영광)’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순교자들은 고난을 진실로 천주가 정하신 ‘참길’이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느님이 아들을 보내심을 ‘속량’이라고 하는데 이 속량이란 뜻은 ‘노비를 풀어주는 일’로도 쓰입니다. 하느님이 아들을 주시어 우리를 죄에서 풀려나게 했다는 뜻과 상통하지요.”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기 위해 순교자들은 서슬 퍼런 박해의 칼날 아래서도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희생했다. 박해 아래 자신의 목을 내어놓던 날, 그들은 또다시 붓을 들어 하느님을 증거하는 마지막 서한을 남겼다. 절절한 마음과 사연들이 담긴 이 서한들은 순교자들이 미래에 사는 신앙후손에게 보내는 편지이기도 하다.

이문우(요한) 성인은 부모님께 올리는 옥중서한에서 ‘천주의 힘과 성모 마리아와 성인들과 우리 모든 순교자들의 전구하심으로 지탱돼 거의 괴로움을 당하지 않는 줄로 생각했다’고 전한다. 또 ‘이러한 은혜를 도저히 갚을 길이 없고 제 목숨을 바치는 것이 참으로 옳은 일’이라고도 말한다.

“이문우 성인이 부모님께 올리는 서한을 보면 하느님에 대한 그의 마음과 믿음이 얼마나 구구절절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고난과 시련을 겪은 뒤 하느님을 만나는 것, 예수 그리스도의 계명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것, 이것은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존재의 이유이기도 하지요.”

?Who's 두레&요안나

profile

찬미예수님 요안나입니다,
저는 광주 교구 송정2동 원동 본당에
다닌  신자인 요안나입니다,
여렸을때 신동에 다녔다가
현제는 원동에 다니고 있습니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