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보좌주교에 손희송 신부 임명

by 중계동_가별 posted Jul 1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에 손희송 신부 임명

서울대교구 보좌주교에 손희송 신부 임명

□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서울대교구 손희송 베네딕토 신부(58세, 1986년 사제 수품)를 서울대교구 보좌주교(Auxiliary Bishop of the Archdiocese of Seoul)로 임명하셨다고 주한 교황대사관이 발표했다. 

   이 내용은 2015년 7월 14일(화) 오후 7시(로마 시각 낮 12시) 교황청 공식 기관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에 발표된다. 

 2015714154814.jpg 

□ 신임 손 주교는 1957년 경기도 연천에서 태어나 1986년 7월 사제품을 받았다. 1986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1992년 같은 대학에서 신학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92년 귀국 후 1994년까지 서울대교구 용산성당 주임신부로 사목했으며, 1996년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교의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교에서 신학 교수를 역임했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천주교 서울대교구 사목국장을 맡고 있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으로 있다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신앙교리위원회 총무를 지냈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총무를 맡고 있다.

   손 주교는 교리와 신학을 쉽고 친근하게 풀이하는 강연과 책으로도 유명하다. 저서로는 《신비를 만나는 사람들》(2000), 《나에게 희망이 있다》(2001), 《주님이 쓰시겠답니다》(2002), 《열려라 7성사》(2004), 《미사, 마음의 문을 열다》(2008), 《믿으셨으니 정녕 복되십니다》(2011), 《우리는 혼자가 아닙니다》(2011), 《행복한 신앙인》(2014), 《일곱 성사》(2015) 등이 있다. 

□ 보좌 주교(Auxiliary Bishop)는 교구의 전반적 통치에 교구장 주교를 보필하지만, 계승권을 지닌 부교구장 주교(Coadjutor Bishop)와는 달리 교구장좌 계승권은 없다(교회법 제403조 제1항).

□ 손희송 주교 임명으로 한국 천주교회는 현직 주교가 25명(추기경 1명, 대주교 2명, 주교 22명)이 되었으며, 은퇴주교 12명을 포함, 모두 37명의 주교(추기경 2명, 대주교 5명, 주교 30명)를 갖게 되었다. 한국 천주교회는 16개 교구로 되어 있는데, 서울, 대구, 광주는 대교구이며 대주교가 교구장을 맡는다. 북한에는 평양교구, 함흥교구, 덕원 자치 수도원구가 있다. 평양교구장은 서울대교구장이, 함흥교구장은 춘천교구장이 교구장 서리를 맡고 있으며, 덕원 자치 수도원구 교구장 서리는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장 박현동 아빠스가 맡고 있다. (* 주교회의 회원은 현직 주교 외에 박현동 아빠스가 포함되어 26명이다.)

□ 서울대교구(교구장 염수정 추기경)는 1831년 9월 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가 설정한 조선대목구(정식 교계제도 설정 전, 교황청에서 직접 관할하는 지역)로 출발해 한국 천주교회의 교계제도와 역사를 같이한다. 박해 시대를 거쳐 선교의 자유를 얻고 1898년 명동대성당 봉헌식이 열리면서 한국 천주교회가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1911년 조선대목구에서 대구대목구가 분리 설정되면서 명칭을 서울대목구로 변경했으며, 이후 춘천, 대전, 인천, 수원, 원주, 의정부교구를 분가시켰다. 1962년 한국 천주교회에 정식으로 교계제도가 설정되면서 명칭을 서울대교구로 변경해 오늘에 이른다.

   1942년 첫 한국인 주교인 노기남 주교가 제10대 교구장을 맡은 이래 윤공희 대주교, 김수환 추기경, 정진석 추기경에 이어 2012년부터 염수정 추기경이 제14대 교구장을 맡고 있다.  조규만 바실리오 주교(2006년 임명), 유경촌 티모테오 주교(2013년 임명), 정순택 베드로 주교(2013년 임명)에 이어 손 주교의 임명으로 서울대교구는 모두 4명의 보좌주교를 두게 되었다.

□ 신임 주교 약력

성 명_손희송 (孫凞松, SON Hee Song)
세 례 명베네딕토 (Benedictus)
1957년  1월 28일경기도 연천 출생
1972년  3월 – 1975년  2월서울 성신고등학교(소신학교)
1975년  3월 – 1979년  2월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982년 10월 – 1986년  4월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교 신학대학(교의신학 석사)
1986년  7월  4일사제 수품(서울대교구)
1986년 - 1992년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교(신학박사 과정 수료)
1992년 10월 - 1994년 9월서울대교구 용산 본당 주임신부
1993년 3월 - 1996년 2월가톨릭대학교(교의신학 박사)
1994년  9월 – 2015년  2월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2004년 – 2005년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
2005년 12월 - 2014년 2월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2014년 – 현재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
2012년 9월 - 현재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총무
2012년 8월 - 현재서울대교구 사목국장
2015년 7월 14일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임명

□ 참고 자료: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회원 명단(2015년 7월 14일 현재)

 추기경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서울, 평양)
 대주교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광주)
조환길 타대오 대주교(대구) 
 주 교
강우일 베드로 주교(제주)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전주)
김지석 야고보 주교(원주)
장봉훈 가브리엘 주교(청주)
이기헌 베드로 주교(의정부) 
최기산 보니파시오 주교(인천)
안명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마산)
권혁주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안동)
김운회 루카 주교(춘천, 함흥) 
이용훈 마티아 주교(수원)
유흥식 라자로 주교(대전)
황철수 바오로 주교(부산)
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군종)
조규만 바실리오 주교(서울)
김종수 아우구스티노 주교(대전)
정신철 세례자 요한 주교(인천)
손삼석 요셉 주교(부산)
이성효 리노 주교(수원)
옥현진 시몬 주교(광주)
유경촌 티모테오 주교(서울)
정순택 베드로 주교(서울)
박현동 블라시오 아빠스(덕원) 
 은퇴 주교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이문희 바오로 대주교
최창무 안드레아 대주교
나길모 굴리엘모 주교
두봉 레나도 주교 
경갑룡 요셉 주교
박정일 미카엘 주교 
김창렬 바오로 주교 
장 익 십자가의 요한 주교 
최덕기 바오로 주교 
이한택 요셉 주교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