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날, 어머니가 마지막 숨을 가쁘게 몰아 쉬실 때 나는 넋을 잃고 어머니의

맥박을 꼭 쥔채 멈출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자 곧 어머니의 숨과 맥박이 동시에 멈추고 입술이 새파래지셨다.

나는 어머니의 시신을 그대로 둔 채 재빨리 연필과 오선지를 찾아 들고

언덕 위의 성당으로 달려갔다.

어머니의 장례식 때 불러 드릴 성가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다른 형제들은 제 명대로 살지 못하고 돌아가신 어머니의 죽음을 애석해

하며 울부짖는 동안 장남인 내가 시신 곁을 떠나 없어졌으니 난리가 났다.

이상하게 생각할 정도가 아니라 마을 사람들은 나를 미쳤다고까지 했을

것이다. 지금까지 나 자신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누가, 왜, 그

순간에 장례곡을 만들라고 성당으로 끌고 갔는지 도무지 모를 일이다.







그때까지 나는 감히 성가를 만든다는 것을 상상도 못해 봤다.

하여간 나는 성당에 올라가 성체 앞에 꿇어 앉아 눈물과 콧물을 한없이

흘리며 입당성가부터 마침성가 그리고 고별식 성가까지 장례미사곡 1세트

를 두어 시간 만에 만들어 냈고, 누나와 동생 둘과 함께 부를 4부 합창을

연습하여 장례미사 때 어머니의 영혼을 위해 뜨거운 기도를 드렸다.

이것이 내가 처음으로 성가를 만들게 된 동기다. 그때 내 나이 27살이었고,

신학교에서 쫓겨나 여자중고등학교에서 음악교사로 있을 때였다.








어머니의 죽음은 대단한 충격이었다.

굳게 믿었던 큰아들은 멀리 유학까지 가서 사제서품을 몇 달 앞두고 등산길

에서 추락사하여 그곳에 묻혀 버렸고, 형을 대신하여 신부가 되겠다던 나

역시 신학교에서 쫓겨났으니, 믿었던 도끼에 발등 찍힌 격이 되자 어머니는

뇌출혈로 세상을 떠나신 것이다.

나는 종종 어머니 생각을 하다 보면 성모님 생각이 난다.

믿었던 외아들이 효도는커녕, 동네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떠돌이 생활을

하더니 설상가상으로 십자가에 발가벗긴 채 매달려 죽어 가는 꼴을 봐야 했던

그 성모님 말이다.







어머니는 평소처럼 주일 새벽미사에 참례하고자 우리집과 같은 담을 쓰는

언양성당으로 가시던 길이었다. 회갑을 갓 넘긴 어머니는 농사일하며 아이

열둘을 낳고 기르는 동안 온갖 병치레를 하느라, 팔순 노인처럼 늙고 유난히

허리가 꼬부라지셨다.

특히 두 아들의 비운에 속이 얼마나 상하셨던지 온몸이 망가진 상태였다.

그런 어머니가 차가운 겨울 아침, 성당을 오르는 계단에서 그만 넘어지셨다.

마침 성당에 오던 교우 한 분이 부축하며 집으로 돌아가 쉬시라고 권유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이정도 가지고 주일미사를 빠질 수는 없지요.” 하며

기어코 성당 안으로 들어가셨고 비틀거리며 예물봉헌을 마치고 돌아 나오다

두 번째로 또 넘어지셨다.

교우들이 놀라며 병원으로 가자고 권유했으나 “영성체를 하지 않으면 미사에

빠진 거나 마찬가지예요.” 하며 끝까지 참으셨던 어머니는 성체를 받아 모시

고 나오는 길에 세 번째로 넘어지셨다.

즉시 의사를 불렀지만 이미 때를 놓치고 말았다. 의사는 더 이상 손을 댈 수

없다며 가방을 챙겨 떠났고 동네 교우들은 넋을 잃고 그저 ‘예수 마리아’를

외워 대고 있었다.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달려간 나는 이미 말문을 닫아 버리고 숨만 가쁘게

몰아 쉬는 어머니 품에 머리를 박은 채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그러다 갑자기 성당으로 달려간 것이다.

그 뒤로 성가작곡을 여러 번 포기할 뻔 했지만 이상할 정도로 계기가 계속

이어져서 나는 그것이 어머니가 하늘나라에서 내려 주시는 은총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죄인과 불효자의 멍에를 벗기 위해 나는 수십 년을 몸부림쳤고,

사제가 되는 것이 유일한 효도방법이라는 걸 깨달았으며 피눈물 끝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 비록 부모가 다 돌아가신 뒤였지만 천국에서 함께 기뻐하심

을 믿을 수 있었다.

참 효도는 부모가 죽은 다음에야 할 수 있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내가 어릴 적에 부친께서는 초대 본당신부로 오신 파리외방전교회소속

프랑스 선교사 신부님께 오르간을 배워 미사 때 반주를 하셨기에, 일찍부터

나는 오르간 장난에 익숙했다.

특히 미사 중에 오르간 옆에 붙어 서서 몰래 건반 하나를 꾹 누르는 장난을

많이 했는데 그럴 때마다 부친의 큰 손이 내 몸뚱아리를 쳐 나는 구석으로

내동댕이 쳐졌다. 그래도 신명이 난 나는 또 몰래 살금살금 기어가 이번에는

아래쪽 건반을 응시하며 장난의 기회를 엿보기도 했다.

부친 덕분에 우리 형제들은 매일 성당에 가서 오르간 연주와 성가 부르기를

가장 큰 낙으로 삼았고 그것이 곧 우리의 성체조배가 되었다.

지금도 오르간에 앉아 내가 부르고 싶은 성가 대여섯 곡을 부르는 것이 곧

나의 성체조배다. 참회와 자비의 성가를 먼저 부르고 감사와 성모찬송,

끝으로 순교자 찬가를 부르는 동안 저절로 흩어진 마음이 참하게 정리되고

깊은 신심으로 성당을 걸어 나오게 된다. 아마도 성가를 정성껏 부르고 뜻을

새기며 노랫말을 깊이 묵상하기 때문인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이종철 신부의 성가곡은 한결같이 슬픈 노래요, 눈물과

비탄의 성가” 라고들 말한다.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성가작곡의 시작이 그랬고 또한 지금은 한 사제로서 슬프고 외로운 사람들의

벗이어야 하기에 앞으로도 나는 그런 성가를 만들고 싶다.

언젠가 천국에서 천사들과 함께 지내는 날, 나는 그제야 기쁨과 환희, 찬양과

감사의 노래만 전문적으로 만들까 생각하고 있다.


                                                    -  위의 글은 인터넷에서  발췌하였으며,  "내가 만난 가톨릭" 이종철신부

                                                                                어머니와 못난 여동생 중에서  어머님과 관련된 부분의 일화입니다.
  • ?
    까투리 2008.10.29 09:42
    ㅠ.ㅠ 슬픈사연이네요

    감사합니다... 아~~ 가슴이 뭉클하네요...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